반응형
건설공사비지수
건설공사비지수란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의 자원 등의 직접공사비를 대상으로 한국은행의 산업연관표와 생산자물가지수, 대한건설협회의 공사부문 시중노임 자료 등을 이용하여 작성된 가공통계로 건설공사 직접공사비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수임
공표시기 및 방법
공표예정일 : 매월 마지막 날
공표방법 : 인터넷 게시
건설공사비지수 작성목적
건설공사 물가변동 분석을 위한 기준 제공
- 기존에는 생산자물가지수나, 소비자물가지수 등을 이용하여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물가변동을 간접적으로 추정하였으나, 이들 지수는 편제품목이나 가중치 구조가 건설산업의 특성과 상이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물가변동분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건설에 특화된 물가지수를 제공하고자 함
건설공사비지수 활용목적
기존 공사비 자료의 현가화를 위한 기초자료
- 기존 공사비자료에 대한 시차 보정에 건설공사비지수를 활용할 수 있음
계약금액 조정을 위한 기초자료의 개선
- 물가변동으로 인한 계약금액 조정에 있어서 투명하고 간편하게 가격 등락을 측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음
건설공사비지수 추세
2000 년 | 55.06 |
2001 년 | 55.55 |
2002 년 | 62.04 |
2003 년 | 64.06 |
2004 년 | 69.58 |
2005 년 | 69.59 |
2006 년 | 71.38 |
2007 년 | 74.27 |
2008 년 | 85.38 |
2009 년 | 85.16 |
2010 년 | 89.84 |
2011 년 | 94.68 |
2012 년 | 96.62 |
2013 년 | 98.72 |
2014 년 | 99.73 |
2015 년 | 100.00 |
2016 년 | 104.09 |
2017 년 | 108.91 |
2018 년 | 113.97 |
2019 년 | 117.33 |
2020 년 | 121.80 |
2021 년 | 138.89 |
2022 년 | 148.56 |
2023 년 | 151.41 |
용역 등 생산자물가변동 추세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4. 물가 → 4.1 생산자물가지수 → 4.1.1생산자물가지수(기본분류) → 서비스 (건축, 토목관련서비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