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07

2023년 건축사사무소(설계사무소) 설계 매출 순위 (2024년 5월 발표) /건축 설계사 순위 지난해 금리인상을 비롯한 원자재 상승과, 예측 불가한 국제 정세의 불확실성에 따라 우리나라 경제도 저성장 기조를 벗어나지 못했다. 심지어 높은 인플레이션은 가뜩이나 어려운 경기를 더욱 얼어붙게 만들고 있다. 건축경기도 마찬가지 였다. 이번 건축사사무소 실적발표를 보면 전반적인 불황속에서 플랜트(하이테크) 설계 포트폴리오를 갖은 설계사무소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실적을 거둔것으로 확인된다. 경제가 호황일때는 주택 포트폴리오가 유리하고, 불황일때는 플랜트 포트폴리오가 빛을 발한다는 현상이 그대로 반영되는 것 같다. 특히 삼성그룹의 공격적인 반도체 공장 증설에 힘입어 삼우건축은 타사와 비교가 불가능할 정도의 높은 매출을 거두었고, 그동안 플랜트 포트폴리오에 공격적인 투자를 거듭한 해안건축, 간삼건축 그리고 정림.. 2024. 5. 11.
콘크리트 구조물 내구성설계 기준 (노출범주 및 등급) / 콘크리트 부재별 등급 적용 방안 노출범주 및 등급 KDS 14 20 40과 KCS 14 20 10에서는 노출환경의 범주와 각 범주별 등급을 표 2.2-1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적절한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조건에 대한 노출범주를 5가지로 분류하고, 각 범주의 노출정도에 따라 등급을 나누어 제시하고 있다. 노출등급 숫자가 커질수록 더 극심한 열화환경에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표 2.2-1 노출범주 및 등급 (KDS 14 20 40의 표 4.1-1, KCS 14 20 10의 표 1.9-1) 범주 등급 Mpa 조건 예 일반 E0 21 물리적, 화학적 작용에 의한 콘크리트 손상의 우려가 없는 경우 철근이나 내부 금속의 부식 위험이 없는 경우 ∙ 공기 중 습도가 매우 낮은 건물 내부의 콘크리트 EC (탄산화) E.. 2024. 4. 19.
천정과 반자사이 스프링클러 설비 설치 기준 / 방화 석고보드 불연재 기준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 제15조 (헤드 설치 제외) 천장 속 깊이가 2m 이상인 부분은 무조건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해야한다. 2m 미만인 경우 주어진 조건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의 설치가 면제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스프링클러 헤드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부분 1.'천장'과 '반자' 양쪽이 불연재이고, '천장'과 '반자' 사이 거리가 2m 미만인 부분 2.'천장'과 '반자' 중 한쪽이 불연재이고, '천장'과 '반자' 사이 거리가 1m 미만인 부분 3.'천장'과 '반자' 모두가 불연재가 아니나, '천장'과 '반자' 사이의 거리가 0.5m 미만인 부분 불연재 여부 천장과 반자 사이 거리 천장 반자 1m이상 2m미만 0.5m이상 1m미만 0.5m미만 ㅇ ㅇ 헤드제외 헤드제외 헤드제외 ㅇ .. 2024. 4. 5.
건축구조용 강재 종류 및 특성 (SS275, SS355, SM355, SN355, SHN355) SS275 /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SS, Steel Structure) 가장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강재이다. 통상 25mm이하는 용접성에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나, 더 두꺼운 판재를 용접해야 하는경우는 용접품질이 우수한 SM강재를 사용한다. 뒤에 붙은 275는 항복강도를 의미한다. SM355 / 용접 구조용 압연강재 (SM, Steel for Marine) 일반 구조용 강재인 SS355와 동일한 항복강도에 용접이 가능하도록 성능을 개선한 강종이다. 뒤에붙은 355는 항복강도를 의미한다. SN355 / 내진 건축구조용 압연강재 (SN, Steel New) 기존 SS강재 구조성능에 내진성능을 개선한 강재이다. 기존 SS나 SM강재가 보급된 이후 등장했기때문에 이름에 New가 들어갔다. SHN355 .. 2024. 3. 21.
구조안전심의 신청 시 첨부도서 (도면, 서류) 구조안전심의 신청 시, 필요한 도서(도면 및 서류)는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1의2'에서 규정하고 있다. 다만 프로젝트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아래 규정한 도서목록 외 추가 협의자료를 요청될 수 있다. 건축법시행규칙 제2조의4(지방건축위원회의 심의 신청 등) ② 영 제6조의3제2항 및 제4항에 따라 구조 안전에 관한 지방건축위원회의 심의 또는 재심의를 신청할 때에는 별지 제1호의5서식의 건축위원회 구조 안전 심의(재심의) 신청서에 별표 1의2에 따른 서류를 첨부(재심의를 신청하는 경우는 제외한다)하여 제출하여야 한다. 건축법시행규칙 별표1의2 분야 도서종류 표시하여야 할 사항 1. 건축 가. 건축개요 1) 사업 개요: 위치, 대지면적, 사업기간 등 2) 건축물 개요: 규모(높이, 면적 등), 용도별 면적 .. 2024. 3. 21.
건축허가 신청에 필요한 설계도서 (도면, 서류) 건축허가 신청 시 필요한 도서(도면 및 서류)는 '건축법 시행규칙 별표2'에서 아래와 같이 규정한다. 다만 프로젝트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아래 규정한 목록 외 추가도서가 요청될 수 있다. 필요도서 목록 도서종류 축척 표시하여야 할 사항 건축 계획서 임의 1. 개요(위치·대지면적 등) 2. 지역·지구 및 도시계획사항 3. 건축물의 규모(건축면적·연면적·높이·층수 등) 4. 건축물의 용도별 면적 5. 주차장규모 6. 에너지절약계획서(해당건축물에 한한다) 7. 노인 및 장애인 등을 위한 편의시설 설치계획서 (관계법령에 의하여 설치의무가 있는 경우에 한한다) 배치도 임의 1. 축척 및 방위 2. 대지에 접한 도로의 길이 및 너비 3. 대지의 종·횡단면도 4. 건축선 및 대지경계선으로부터 건축물까지의 거리 5... 2024. 3. 21.
레미콘 규격(호칭) 표기방법 및 사용처 예시 레미콘 규격 표기방법 레미콘(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을 통해 압축력을 받는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주요 구조부를 만든다. 이때 압축강도는 레미콘을 구성하는 재료인 시멘트, 모래, 굵은 골재, 혼화재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지며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25-21-120 : 굵은골재 최대치수 25mm, 압축강도 21 MPa, 슬럼프 12cm 25-24-150 : 굵은골재 최대치수 25mm, 압축강도 24 MPa, 슬럼프 15cm - 굵은골재 최대치수 : 철근콘크리트에는 보통 25mm 이하를 사용하며 40mm의 경우는 무근 콘크리트에 사용. 최대치수의 결정은 부재의 최소치수 1/5이하이거나 철근 최소 순간격의 3/4이하 - 압축강도 : 타콘크리트를 표준양생조건(수중23±2C)에서 28일동안 양생한 후 파괴하여 측정한 콘.. 2024. 3. 11.
반응형